I. 객체 생성과 프로퍼티 접근
const food1 = {
name: '햄버거',
price: 5000,
vegan: false
};
console.log(food1);
console.log(
food1.name, // 💡 마침표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
food1['price'] // 💡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
);
// 빈 객체 생성
const food2 = {};
console.log(food2);
// 프로터피 추가
food2.name = '샐러드';
food2.price = '6000';
food2['vegan'] = true;
console.log(food2);
// 프로터피 수정
food2['price'] = '6500';
food2.vegan = false;
console.log(food2);
💡 식별자 명명 규칙에 벗어나는 키 이름 사용시
const obj = {
1: '하나', // 숫자도 객체의 키로는 사용 가능
'ab-cd': 'ABCD', // 문자 포함 시 키도 따옴표로 감싸야 함
's p a c e': 'Space'
}
//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로만 가능
console.log(
obj[1],
obj['ab-cd'],
obj['s p a c e']
);
// ⚠️ 오류 발생
// console.log(
// obj.1,
// obj.ab-cd,
// obj.s p a c e
// );
표현식으로 키값 정의하기
let idx = 0;
const obj = {
['key-' + ++idx]: `value-${idx}`,
['key-' + ++idx]: `value-${idx}`,
['key-' + ++idx]: `value-${idx}`,
[idx ** idx]: 'POWER'
}
console.log(obj);
⚠️ 객체나 배열을 키값으로 사용시
const objKey = { x: 1, y: 2 };
const arrKey = [1, 2, 3];
const obj = {
[objKey]: '객체를 키값으로',
[arrKey]: '배열을 키값으로'
}
console.log(
obj[objKey],
obj[arrKey]
);
// ⚠️ ???????
console.log(
obj[{ a: 1, b: 2, c: 3 }], // 내용이 다른 객체
obj['1,2,3'] // 문자열
);
// 로그를 펼쳐 키값을 볼 것 - 💡 문자열임
// 객체와 배열이 그 자체가 아니라 문자열로 치환되어 키가 되는 것
console.log(obj);
console.log(
obj['[object Object]']
);
- 즉 실제로 해당 객체나 배열의 내용이나 참조값이 키가 되는 것이 아님
- 이후 배울 Map ( 참조값을 키값으로 사용 )과의 차이점
II. 🗑 프로퍼티 삭제 - delete 연산자
const person1 = {
name: '홍길동',
age: 24,
school: '한국대',
major: '컴퓨터공학'
};
console.log(person1);
delete person1.age;
console.log(person1);
delete person1['major'];
console.log(person1);
// 💡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음
delete person1.hobby;
console.log(person1);
III. 키의 동적 사용
const product1 = {
name: '노트북',
color: 'gray',
price: 800000
}
function addModifyProperty (obj, key, value) {
// obj.key = value; // ⚠️ 의도와 다른 작업 수행
obj[key] = value;
}
function deleteProperty (obj, key) {
// delete obj.key // ⚠️ 의도와 다른 작업 수행
delete obj[key];
}
addModifyProperty (product1, 'inch', 16);
console.log(product1);
addModifyProperty (product1, 'price', 750000);
console.log(product1);
deleteProperty(product1, 'color');
console.log(product1);
IV. ES6 추가 문법
1. 객체 선언 시 프로퍼티 키와 대입할 상수/변수명이 동일할 시 단축 표현
const x = 1, y = 2;
const obj1 = {
x: x,
y: y
}
console.log(obj1);
const obj2 = { x, y }
console.log(obj2);
function createProduct (name, price, quantity) {
return { name, price, quantity };
}
const product1 = createProduct('선풍기', 50000, 50);
const product2 = createProduct('청소기', 125000, 32);
console.log(product1, product2);
2. 메서드 method - 객체에 축약표현으로 정의된 함수 프로퍼티
// 일반 함수 프로퍼티 정의
const person = {
name: '홍길동',
salutate: function (formal) {
return formal
? `안녕하십니까, ${this.name}입니다.`
: `안녕하세요, ${this.name}이에요.`;
}
}
console.log(person.salutate(true));
// ⭐️ 메서드 정의
const person = {
name: '홍길동',
salutate (formal) {
return formal
? `안녕하십니까, ${this.name}입니다.`
: `안녕하세요, ${this.name}이에요.`;
}
}
console.log(person.salutate(true));
- ⭐ ES6부터는 위의 표현으로 정의된 함수만 메서드라고 부름
- 일반 함수 프로퍼티와 특성이 다름 - 이후 자세히 배울 것